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ROAS(광고 수익률)란? 정의와 중요성

by Eun jay 2025. 5. 7.

ROAS(광고 수익률)란? 정의와 중요성

ROAS(광고 수익률)는 디지털 광고 캠페인 효율을 나타내는 핵심 수익률 지표입니다. 광고에 지출한 비용 대비 얻은 매출을 백분율로 계산해 광고 성과를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광고비 1만 원으로 3만 원 매출을 올리면 ROAS는 300%가 됩니다. 이를 통해 캠페인 성과를 판단하고 최적의 예산 배분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ROAS 계산법과 예시

ROAS 계산 공식은 광고 매출액 ÷ 광고비용으로,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합니다. 이렇게 계산된 ROAS는 광고 투자의 성과를 수치로 명확히 비교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ROAS 분석 및 해석: 좋은 수치는?

적정 ROAS 기준은 업종, 광고 채널, 제품 마진 등에 따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 200% (2:1) 이상이면 평균 이상의 성과, 300~400% (3~4:1) 이상이면 우수한 성과로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아마존 광고의 평균 ROAS는 약 30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ROAS만으로 손익을 판단할 수는 없으므로, 전체 비용 구조와 마진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ROAS 향상 전략

  • 광고 예산 최적화: 성과가 높은 캠페인이나 채널에 예산을 집중 투자하여 효율을 높입니다. 배분 시 CTR과 전환율을 참고해 낭비를 줄이고 수익을 극대화해야 합니다.
  • 정확한 타겟 설정: 고객층을 연령, 성별, 관심사 등으로 세분화하여 정교하게 타겟팅합니다. 맞춤형 메시지와 크리에이티브로 전환율을 높여 ROAS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광고 크리에이티브 개선: 광고 문구와 디자인을 최적화해 사용자의 관심을 끕니다. 매력적인 카피라이팅과 이미지를 사용하면 ROAS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 A/B 테스트: 여러 광고 버전(문안, 이미지, 랜딩 페이지 등)을 실험하며 성과를 비교합니다. 다양한 조합을 테스트해 전환율을 높이는 최적의 광고를 찾아야 합니다.

ROAS 관련 주요 용어 정리

  • ROI(투자수익률): 광고를 포함한 전체 마케팅 비용 대비 순이익의 비율입니다. ROAS가 특정 캠페인의 효율을 측정한다면, ROI는 전체 투자 대비 수익성을 평가합니다.
  • ACOS: 광고 매출 대비 광고비 비율로, ROAS의 역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ACOS 50%는 매출의 절반을 광고비로 사용했다는 의미입니다.
  • CPA/CPO(획득당/주문당 비용): 광고를 통해 한 명의 고객을 획득하거나 한 건의 주문을 얻는 데 든 비용입니다.
  • CTR(클릭률): 광고 노출 대비 클릭 비율입니다. 반응도가 높을수록 CTR 값이 높아집니다. 전환율(CVR)은 클릭 대비 실제 구매나 가입 등 전환이 일어난 비율을 의미합니다.
  • AOV(평균 주문금액): 전체 매출을 총 주문 수로 나눈 값으로, 고객 한 명당 평균 구매액을 나타냅니다. AOV가 높을수록 동일한 광고비로 더 높은 매출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